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근로장려금 적금 장점 및 가입 방법 총정리

by ☀︎★@##@★☀︎ 2021. 9. 20.

근로장려금을 받으셨다면 금리가 높은 근로장려금 적금의 혜택까지 받아볼 수 있습니다. 가입 전 주의사항과 가입 방법에 대해 읽어 보시고 시중 금리보다 높은 우대 금리 혜택으로 종잣돈을 모아 보세요.

 

 

근로장려금 적금 장점

근로장려금을 받은 분들만 가입이 가능한 근로장려금 적금은 일반적인 금리보다 높은 금리가 적용됩니다. 1년 만기의 경우 4~5% 그리고 3년 만기의 경우 3~4% 의 높은 금리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 한 은행에서 1개의 근로장려금 적금을 개설하고 난 후, 다른 은행에서 또 다른 근로장려금 적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가입 전 주의사항

근로장려금을 받은 날로부터 단 1년 이내에만 근로장려금 적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각기 다른 은행에서 여러 개의 근로장려금 적금을 만들 계획이라면 꼭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은행에서 계좌 개설 후 타행 계좌 개설하기까지 최소 20일이 지나야 하는데요. 월에 1개씩 개설한다고 가정하면, 만들고자 하는 적금의 수만큼 개월 수로 기간을 확보해 놓아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받고 난 후 1년이 되기 전날까지 4개월 전에 적금을 만들기 시작해야 4군데 은행에서 총 4개의 적금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적금 가입 방법

반드시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개설해야 합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신분증 챙기시고요. 근로장려금 수급사실 증명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프린트를 쉽게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발급 후 출력하면 됩니다. 홈텍스 홈페이지의 민원증명 메뉴 → 근로(자녀) 장려금 수급사실 증명 메뉴 → 장려금 수급사실 신청서 탭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프린트가 곤란하다면 관할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여 발급하면 됩니다.

 

 

근로장려금 적금 상품 소개

금리가 높은 상품들로 정리하였습니다. 단, 금리가 높지만 지점이 너무 적어 방문하기 어려운 상품은 제외하였습니다. 각 은행별로 5천만 원씩 예금자 보호가 되니 참고해 주세요. 이자율, 납입한도, 납입기간 등 주요 정보를 살펴보신 후 실제 은행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서 다시 한번 체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금리에 대한 내용은 가입 시점에 반드시 재확인해주세요.

  • KB국민은행-KB국민행복적금 : 한도 50만 원/월, 만기 12개월, 금리 4.85%
  • 웰컴 저축은행-디딤돌 적금 : 한도 30만 원/월, 만기 12개월, 금리 5.00%
  • 우리은행-우리 희망드림 적금 : 한도 20만 원/월, 만기 12개월, 금리 4.00%
  • NH-NH희망채움적금 II : 한도 30만 원/월, 만기 36개월, 금리 3.95%
  • 우체국-새 출발 자유적금 : 한도 30만 원/월, 만기 36개월, 금리 3.30%

금리가 낮아도 납입한도가 크고 기간이 길면 실제 수령 이자는 높아지므로 인터넷에 "적금 이자계산서" 검색 후 직접 계산해보세요. 이자는 '단리'로 설정하면 됩니다. 저는 스프레드 시트, 엑셀 등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이자를 확인하는 데요. 아래 계산 공식을 작성하고 값만 바꾸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금 이자 계산 공식 : 월 저축금액 X 계약 월수 X(계약 월수+1)/2 X 연이자율/12

댓글